최근 미국 국채 금리가 하락 추세를 유지하면서 인플레이션 공포가 잦아들고는 있는데요.

주식시장이라는 게 다들 안심할 때 한 번씩 흔들리기 마련이라 여전히 걱정과 기대가 섞인 상태입니다.

 

이자율과 인플레이션은 주식시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걸까요?

 

영원한 주린이의 아버지 존리대표는 인플레이션에 대한 걱정은 너무 성급한 판단이라고 합니다.

 

인플레이션과 이자율의 관계

 

미국에 인플레이션이 생기게 되면 미국 정부는 이자율을 올릴 테고 그러면 그 영향은 고스란히 주식시장에 타격으로 올 수 있습니다.

 

인플레이션과 이자율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자율이 높다는 것은 대출이자가 높다는 것이고 돈을 빌려서 이것저것 하려고 하는 기업은 부담을 느끼게 됩니다.

 

또 이자율이 높게 되면 주식을 사느니 이자 많이 주는 예금을 하거나 채권을 사는 게 더 나을 수 있기 때문에 주식의 매력이 떨어지게 되는 것이지요.

 

그래서 주식은 이자율에 민감하게 반응할 수밖에 없습니다.

 

인플레이션, 지금 당장 걱정해야 할까요?

 

현재는 Fed가 이자율을 올리게 되는 시기에 대해서도 의견이 분분한 상태라 이렇다 하게 결정이 날 상황은 아닙니다.

 

Fed 역시 이자율 상승으로 인한 경제 침체에 대해 항상 우려하고 있기 때문인데요.

 

이자율이 높아지면 주가는 폭락하게 되고 기업의 대출이자가 상승하게 되면 경기는 침체로 접어들게 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인플레이션을 만드려다가 되려 디플레이션이 올 수가 있어요.

 

그렇기 때문에 인플레이션이 생긴다고 무조건 이자율이 올라가지는 않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Fed는 과거에 목격해온 역사가 있기 때문에 이자율 역시 조심스럽게 올릴 텐데요.

 

왜냐하면 이렇게까지 돈을 많이 풀었는데 경제가 잘못돼버리거나 주식시장이 폭락이라도 하게 되면 심각한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인플레이션 우려보다는 디플레이션에 대한 우려가 더 크다

 

과거에는 항상 인플레이션 우려가 많았습니다.

 

건강한 인플레이션은 경기가 살아나고 발전하는데 도움이 되지만 걷잡을 수없이 폭발하는 인플레이션은 나라를 망하게 하기 때문에 언제나 선제적으로 대응을 해야 합니다.

 

그래서 인플레이션이 올라갈 거다라고 예상되면 이자율을 올리게 되는 것이고 경기가 안 좋다고 생각하면 이자율을 낮추면서 대응을 해나가는 것입니다.

 

그런데 점점 다른 변수가 생기고 있는 것인데요.

 

미국 정부는 항상 이자율로 경기를 순환시키는 정책을 해왔는데 점점 이런 정책이 먹히지 않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습니다.

 

2008년에 금융위기를 만든 리먼사태 역시 전통적인 방법으로 경기를 회복시키는 것이 좋지만은 않다는 것을 깨닫게 하는 사건이었고 작년 코로나도 마찬가지고 전 세계적으로 디플레이션 변수가 생기게 됩니다.

 

까딱하면 디플레이션으로 빠져버릴 수 있기 때문에 미국 정부는 더 다양한 선택지를 둘 수밖에 없게 됩니다.

 

인플레이션은 우리가 항상 경계해오고 가격이 오르는 것도 경험해봤기 때문에 실체를 알지만 진짜 무서운 건 디플레이션입니다.

 

디플레이션은 그야말로 경제를 늪으로 빠지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무서운 것인데요.

 

이자를 올렸을 때 디플레이션이 될 것을 항상 경계해야 됩니다.

 

일본의 잃어버린 30년만 봐도 디플레이션은 끊임없이 경제의 발목을 잡고 있기 때문에 돈을 풀어도 그 늪에서 벗어나는 게 정말 어렵습니다.

 

인플레이션은 정말 나쁘기만 할까?

 

그러면 인플레이션이 정말 나쁜지에 대해 다시 생각해볼 필요가 있어요.

 

인플레이션을 반드시 이자율로만 막을 수 있을까요?

 

반드시 그렇지만은 않다고 하는데요.

 

테크놀로지가 발전하고 생산성 높아지기 때문에 생각보다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경기변동은 심각하지 않다고 하는데요.

 

인플레이션이 와서 이자율이 올라간다고 해도 높아진 생산성에 의해 경기가 좋아지게 되면 경기는 타격을 받지 않게 되는 것이지요.

 

경기가 타격을 받지 않고 승승장구 잘 나가게 되면 단순히 이자율이 올라간다고 해서 주식시장이 망가지지는 않는다는 것입니다.

 

이자율과 인플레이션과 주식시장은 언제나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그런데 우리가 짚어봐야 할 다른 포인트가 있는데요.

 

인플레이션은 반드시 나쁜 것은 아닙니다.

인플레이션은 오히려 경기 발전을 위해서 필요한 부분이에요.

 

적당한 인플레이션이 있어야만 기업의 이익은 상승하게 되는 것이고 고용이 늘고 경기가 좋아질 테니까요.

경기가 좋아지면 기업은 돈을 많이 벌게 되고 그 영향은 주식 가격에도 반영이 되는 것입니다.

 

주식시장을 바라볼 때 단순히 인플레이션은 나쁜 것이라고 생각하기보다는 경제 상황을 좀 더 넓게 바라보고 이해할 필요가 있습니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